추석 차례상에 올라오는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 사과)의 의미
추석 차례상에 올라오는 조율이시(대추 밤 배 감 사과)의 의미
차례상을 이야기할때 나오는 규칙중 많이 들어본 것이 있을 겁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 "홍동백서" "좌포우혜" "두동미서" "어동육서" 등의 규칙을 한번씩은 들어보았을 겁니다. 이러한 것은 차례상을 차릴때의 규칙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홍동백서 : 붉은 색은 동쪽, 흰빛은 서쪽
좌포우해 : 육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조율이시 : 대추, 밤, 배,감 순으로 과일을 놓는다.
를 뜻하며 이 방법을 기억한다면 차례상을 차리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제사상을 차리는데에도 규칙이 있고 다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이러한 것중에서 5가지 올라오는 과일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대 추
대추나무는 꽃이 피게되면 꼭 열매를 맺습니다. 이러한 대추의 습성때문에 각종 결혼에서 사용되어지는 과실이기도 합니다. 결혼식 폐백이나 결혼 후의 이바지 음식이등에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이런이유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제사상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식들의 자녀를 두고 편안하게 살기를 원하는 것을 기원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밤
밤의 경우에는 조상과 소통하고자하고, 항상 연결되어 있어 조상이 후손을 보살펴주기를 바라는 의미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밤나무는 썩어도 씨밤은 절대 썩지 않는 그런 것처럼 씨밤은 오랜시간이 흐르고 몇개가 흘러도 조상들은 후손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야기하네요. 이밤은 명절에 하나씩 먹는 것을 많은 분들이 추천하는데요 그 이유는 밤을 먹게되면 위장의 기능이 향상되기때문이라고 합니다.
감
감 씨앗을 심었을때는 고욤나무가 자랐다고 합니다. 그래서 감나무를 키우기 위해서는 고욤나무에 튼실한 감나무의 가지를 접붙여야 감나무로 변화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이 의미는 사람이 태어났다고 사람이 아니라, 가르침을 받고 배움을 얻고, 큰 고통을 인내할 줄 알아야 진정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이야기합니다.
배
배를 갈라보면 희고 맑죠. 그리고 배꽃은 흰 꽃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배의 꽃도 하얗고 배도 맑고 희죠. 맛도 깔끔하고 시원하죠. 그래서 자손들에게 배처럼 깨끗한 마음을 지니고 세상을 살아가야한다는 것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순수하고 깨끗하고 지혜로운 삶을 살기를 바라는 의미를 이야기 합니다.
사과
사과는 1900년대 초에 국내에 들어온 과일이라고 합니다. 아마 사과가 제사상에 올라오는 것은 10월에 제철인 과일이고 맛있는 과일이기때문에 조상님에게 맛있는 과일을 올린다는 의미로 올라가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다른 이야기로 대추는 씨가 하나라 왕을 상징, 밤은 한소이에 밤이 세개라서 삼정승, 배,사과는 씨가 여섯개 육판서. 감은 씨가 여덟개라서 감찰사를 상징하기때문에 그 순서대로 놓는다고 이야기를 해석하는 분들도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개인적으론 위에 적은 해석이 더 맞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씨의 갯수로 인해서 순서를 정하는 것은 그냥 놓는 순서를 기억할때 이용할때 이용함니다.
'정보 공유 > 정보/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지않은 부탁들 어떻게 거절해야 할까 고민하지 말아라 (0) | 2014.09.22 |
---|---|
첫인상은 상대방이 걸어서 내 앞으로 오는 5초안에 결정될 수 있다. (0) | 2014.09.15 |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스마트폰 사용 SNS 사용 (0) | 2014.09.04 |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사람이 이야기하는 다섯가지 조언 (0) | 2014.08.31 |
업무능률을 올리는 방법 - 컴퓨터와 책상을 정리하라 (0) | 201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