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모기에 물리면'

모기에 물리면 가려운 이유 와 모기물렸을때 치료법

2014. 7. 10. 20:32
728x90

모기에 물리면 가려운 이유 와 모기물렸을때 치료법





작년에는 모기에 이렇게 물렸던 기억이 잘 없었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모기가 많이 극성인 듯 합니다. 자다가 모기가 물었던 곳때문에 가려워서 깨기도 하고, 모기가 날아다니는 왱~ 왱~ 소리가 거슬려서 자다가도 일어나기도 합니다.


모기에 물린 곳이 가렵지만 않다면 어찌저찌 잠을 청할텐데, 그 가려움이 정말 싫더라구요.

또 가렵다고 긁어버리면 피부에 색소침착, 피부가 검게 변색되기도 해서 긁지도 못하고, 손가락으로 + 모양으로 누르면서 자는 분들도 많죠.


그래서 오늘은 모기에 물리게 되면 가렵게 되는 원인과 모기에 물렸을때의 치료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모기가 피를 빠는 이유는?


모기는 암컷만이 흡혈을 한다고 합니다.

사람을 물거나 동물을 무는 모기는 전부 암컷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산란기가 되면 흡혈을 시작한다고 하는데요. 모기의 산란기가 되면 암컷은 난자를 성숙시키기 위해서 단백질과 철분등이 풍부한 피를 빨아들기게 된다고 합니다.


산란기의 암컷 이외에는 흡혈을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모기에 물리면 참을 수 없이 가려운 이유 


사람의 혈액은 밖으로 배출되게 되면 응고되어 피가흐르지 않게 되어있습니다. 상처를 입을때처럼 피가 응고가 되어서 혈액이 신체밖으로 계속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요.


이런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모기가 사람의 몸의 피를 빨게될때 혈액의 응고하지 않게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흡혈하는 피부에 밀어 넣습니다. 그래야 피가 응고되지 않고 계속 흘러나오게 되니까요. 그외에도 독성물질을 투입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독성물질때문은 아니지만 신체가 이러한 물질에 반응해서 백혈구가 모이게 되고, 그로인해서 히스타민이 발생하게됩니다. 히스타민은 피부를 보호하고 또 가려운 느낌을 만들어내는 알레르기 반응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생각하면 모기가 물은 곳에 독소가 투입되고 이것에 대한 신체의 면역체계 반응으로 인해서 가려워 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기에 물렸을땐 침바르지 말고 긁지 마세요. 약바르세요


약국등에가면 벌레에 물리거나 모기에 물린데 바르는 약품들이 있습니다.

그중 괜찮은 것을 집안에 비치해두거나 휴대해서 모기에 몰릴때 바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모기나 벌레 물린데 바르는 약품등은 이러한 가려움증과 아픔등을 해소하는 용도로 만들어져있기때문에 가려움을 해소하거나 상처를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침을 바르거나, 손톱으로 + 모양으를 내거나 긁는 등의  행동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고양이네집사 정보 공유/건강/보험